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국 10대 도시 버스 터미널을 가다!

by writtenby1 2025. 8. 6.
반응형

전국 10대 도시 버스터미널 이용 인원 및 특징 분석

자동차의 급속한 보급으로 버스 이용은 줄었지만, 여전히 버스 여행은 마음을 설레게 합니다. 이용객이 많이 줄었지만, 국내 여행이나 고속·시외 이동 시 빼놓을 수 없는 교통수단이 바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입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을 연결하는 버스터미널은 도시의 관문 역할을 하며, 교통 허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국 10대 도시의 주요 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이용 인원, 위치, 특징, 주변 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

1. 서울 고속버스터미널 (강남 센트럴시티)

  • 위치: 서울 서초구 반포동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70,000명
  • 특징: 전국 최대 규모의 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경부선, 호남선 등 3개 터미널이 통합.
  • 장점: 지하철 3·7·9호선과 연결, 백화점·영화관·카페 등 복합쇼핑몰이 인접.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은 수도권과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교통 중심지입니다. 주말이나 명절엔 하루 1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거점입니다.

 

 

 

 

2. 동서울종합터미널

  • 위치: 서울 광진구 구의동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40,000명
  • 특징: 주로 강원권, 경북권으로 출발하는 버스 노선이 집중.
  • 장점: 지하철 2호선 강변역과 직결, 롯데백화점, 강변 CGV와 가까움.

서울 강남권 외에도 동부 지역 거주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동서울터미널은 강원도로 가는 여행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터미널입니다.

3. 인천종합터미널

  • 위치: 인천 미추홀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25,000명
  • 특징: 고속·시외버스 모두 운영. 수도권 내외 교통 중심.
  • 장점: 지하철 1호선 인천터미널역과 연결, 대형 백화점 인접.

인천종합터미널은 서해안 지역이나 경기도 북부 이동 시 최적의 위치를 자랑합니다. 버스 외에도 쇼핑과 문화생활을 즐기기 좋은 복합문화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4. 대전복합터미널

  • 위치: 대전 동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30,000명
  • 특징: 고속·시외 터미널이 하나의 건물에 통합된 형태.
  • 장점: 전국 모든 지역으로 노선 연결, 인근 대형마트와 문화시설 풍부.

중부권 핵심 도시인 대전은 교통 요지답게 터미널도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고속철도(KTX) 대전역과도 가까워 철도-버스 간 연계가 용이합니다.

5.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노포동)

  • 위치: 부산 금정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35,000명
  • 특징: 영남권 중심 버스터미널, 시외·고속버스 운영.
  • 장점: 부산 지하철 1호선 노포역과 연결, 경부고속도로 진입 용이.

부산 터미널은 경남, 울산, 대구를 잇는 중추적 역할을 하며, 특히 여름철 해운대·광안리 등 관광지로 이동하는 여행객들이 많이 찾습니다.

6. 대구서부정류장

  • 위치: 대구 달서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20,000명
  • 특징: 대구 시외 이동 및 인근 지역 연계 터미널.
  • 장점: 도시철도 1호선 성당못역과 가까움, 대형마트·식당가 밀집.

대구는 KTX와 SRT 접근성이 뛰어나지만, 시외버스를 이용한 근거리 이동도 활발히 이뤄집니다. 특히 대구-경북권 이동에 특화된 노선이 강점입니다.

7. 광주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위치: 광주 서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30,000명
  • 특징: 호남권 최대 터미널, 고속·시외버스 통합 운영.
  • 장점: 대형 쇼핑몰, CGV, 음식점 등 복합 문화 공간 형성.

광주의 유스퀘어는 광주-서울/부산/대전 등 장거리 노선뿐 아니라, 전남지역 군 단위 노선까지 커버하는 광역 터미널입니다.

8. 울산시외버스터미널

  • 위치: 울산 남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15,000명
  • 특징: 울산~부산·서울·대구·포항 등 주요 노선 집중.
  • 장점: 시내버스 환승이 편리, 도보권에 호텔·상업지 밀집.

울산은 철도보다 시외버스를 이용한 장거리 이동 수요가 많아, 터미널 중심의 교통 시스템이 발달한 도시입니다.

9.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위치: 창원시 의창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10,000명
  • 특징: 경남권 중심지에서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로 연결.
  • 장점: 롯데백화점과 연결, 대중교통 접근성 우수.

경남 행정수도 창원은 공업도시로서 기업 출장 수요가 많으며, 서울과 부산 간 이동이 잦은 편입니다.

10.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위치: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 하루 평균 이용객: 약 20,000명
  • 특징: 서울 외 수도권 남부의 교통 허브 역할.
  • 장점: AK플라자와 연결, 수원역과 도보 5분 거리.

수원터미널은 수도권 거주민들의 지방 이동 수요를 흡수하며, 경기도 내 시외 이동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전국 버스터미널 트렌드 및 팁

  1. 통합형 터미널이 증가: 고속·시외버스를 한 공간에서 이용 가능해짐.
  2. 복합쇼핑몰과의 결합: 쇼핑·문화·외식 등을 함께 즐기는 공간으로 진화.
  3. 모바일 예매 및 실시간 정보 활용: 고속버스모바일, 티머니 고속버스앱 등을 통한 간편한 예매와 좌석 확인 가능.
  4. 명절·휴가철 예약 필수: 인기 노선은 조기 마감되므로 사전 예매 권장.

마무리

터미널을 그 도시의 얼굴입니다. 전국 10대 도시의 버스터미널은 단순한 교통 수단을 넘어서 도시의 얼굴이자 문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의 터미널은 해당 도시의 특색과 수요에 맞춰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여행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여행을 준비 중이라면, 목적지에 따라 가장 적합한 터미널을 선택해보세요.

반응형